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마취회복간호] 기관내삽관

카테고리 없음

by 레몬청 2024. 4. 28. 18:41

본문

1. 자세

1) sniffing position 

-약 10cm 높이의 베개를 베어 머리를 높임

-머리는 신전, 목은 굴곡시킴

-환자의 입-인두-기관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함

 

2) ramp position

-고도비만 환자에게 적용 (intubation이 일반환자보다 30% 어렵기 때문)

-external auditory meatus - sternal notch 수평

 

 

2. 방법

-환자의 머리가 시술자의 배꼽 근처에 위치하도록 수술대 높이를 조절

-머리 밑에 베개를 받침

-마취를 유도하고 산소를 충분히 흡입

-왼손으로 환자의 머리를 고정, 오른손으로 환자의 정수리에 손가락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고 살며시 밀면 턱이 들리고 머리가 뒤로 기울어지면서 저절로 입이 벌어짐

-왼손으로 후두경을 잡고 후두경날을 입의 오른쪽에서 넣고 혀의 오른쪽 면을 따라 가운데 쪽으로 후두경 날을 전진

-혀가 왼쪽으로 밀리면서 입속 공간이 확보되고 밑으로 중앙에는 목젖 양쪽에 편도나 편도 주름이 보이고 좀 더 안쪽 위로 후두덮개가 달린 것이 보임

-후두경날의 끝을 후두덮개(epiglottis) 뒤 후두덮개계곡(epiglottic vallecula) 안으로 밀어넣음. 이때 후두경날이 지렛대로 윗앞니가 지렛대 받침이 되지 않도록 팔목을 단단히 하고 후두경을 전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목뿔후두덮개인대(hyoepiglottic ligament)가 당겨져 후두덮개가 후두경날쪽으로 올라붙어 성대(vocal cord)가 보이게 됨

- 풍선에 공기가 없이 튜브에 밀착된 것을 확인한 후 오른손으로 튜브를 잡고 튜브의 각을 이용하고 풍선이 성대 2~3cm 지날때까지 부드럽게 밀어 넣음

 

3. 기관내 삽관 장비

1) laryngoscope 

-일반적인 후두경으로써 손잡이, 날, 광원으로 구성

-직형/곡형날이 있으며 사이즈는 #1~4

 

2) videolaryngoscope

-모니터 화면을 통해 기도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 가능

 

3) fibroptic bronchoscope (FOB)

- 굴곡성 기관지경, 기관지 내에서 튜브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음

- difficult airway intubation, awake intubation, endobroncheal tube intubation 시 사용

 

4) stylet 

-기관내튜브 속에 넣고 조작하여 튜브가 원하는 모양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기구

 

5) light wand

-조명이 있는 stylet을 기관내튜브 소게 넣어 사용

 

4. Cormack grade

Cormack과 Lehane에 의해 묘사된 척도로 기관내삽관의 어려움을 표시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

-1등급 : 성대문의 대부분이 보임

-2등급 : 성대문의 뒤의 끝부분만 보임

-3등급 : 성대문이 전혀 보이지 않고 후두덮개만 보임

 3a : 후두덮개를 후두경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경우

 3b : 후두덮개를 후두경으로 들어올릴 수 없는 경우

-4등급 : 후두덮개조차 보이지 않는 경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