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마취회복간호] 발관, nasal intubation, RSI
1. 발관(Extubation)
-발관 전 입인두(oropharyngeal)의 분비물을 흡입하고, 신경근 차단제를 복원시키고 환기가 충분한지 확인
-숨을 잘 쉰다고 해서 기도 유지할만큼 충분한 근력이 돌아왔다고 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근력이 돌아왔는지 시험해 본 후 발관(고개를 5초정도 들 수 있는 정도, 다리를 들거나 혀를 길게 내미는 방법)
-발관 시 흡인 전후로 100% 산소를 투여하고 풍선의 공기를 완전히 뺀 다음 폐를 산소로 팽창하면서 발관하며 습관적으로 기관 내를 흡인하는 것은 불필요
-발관 후 마스크로 다시 100% 산소 투여
2. Nasal intubation
1) 적응증
-intraoral and oropharyngeal surgery ->수술 중 시야확보
-후두를 가로막는 덩어리가 있는 경우
-입벌림 장애(trismus, lock jaw)로 인해 입으로 기관내삽관을 하지 못하는 경우
-중증 퇴행성 경추질환
-깨물근(massestr muscle) 연축
-얼굴 골절
-입인두의 감염
2) 금기사항
-과거 또는 최근에 뇌기저부의 골절이 있었을 경우
-코 안(비강)이 폐쇄된 환자
-급성 굴염 또는 후두개염 (급성 부비동염 또는 꼭지돌기염이 있을 경우 병균성 세균이 기도낼 옮겨 갈 수 있음)
-응고장애로 인해 코피가능성이 높은 경우
-무호흡 또는 임박한 호흡정지
3) 준비물품
-nasal RAE tube, margil forcep, laryngoscope, bosmin, 소독면봉, 술리딘jelly, 1L warm saline, flexible extension, 고정용 ioban, gauze
4) 절차
-nasal RAE tube의 balloon test를 하고 1L warm saline 에 nasal RAE tube를 담궈 준비함 (딱딱한 tube 끝을 말랑하게 하여 비강 내 출혈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)
-bosmin을 희석하여 소독된 면봉에 묻혀 양쪽 코에 삽입 (모세혈관을 수축시켜 비강 점막의 출혈을 감소)
-mask bagging 으로 5분간 preoxygenation 시행
-intubation 전에 warm saline에 담궈 둔 tube 끝에 jelly를 묻혀 준비함
-tube를 입인두까지 넣은 후, laryngoscope으로 vocal cord와 tube를 보며 기관내삽관을하며 margil forcep으로 tube끝을 잡고 넣어 줌
-tube가 정확하게 삽입되면 ballooning 시행
-tube를 적절하게 고정함(보통 성인 남자는 28cm, 여자는 26cm 정도 깊이에 고정)
3. RSI (rapid sequence induction, 신속 기관내삽관)
-진정제와 빨리 작용하는 신경근 차단제를 동시에 줘서 신속하게 기도 삽관
-환자 호흡이 멈출 때부터 삽관 완료시까지 인공호흡이 제공되지 않음 (bagging 하지 않음)
-응급 기도관리에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수단
1) 적응증
-위가 비어있지 않은 경우 (8시간 미만의 금식상태인 응급수술)
-위식도 괄약근 기능이 나쁠 경우
-흡인성 폐렴 증후군 발생 위협이 있는 경우
-생명에 위협적인 손상, 즉각적인 기도관리를 요구하는 환자
2) 금기
-anticipated difficult airway
-massive facial trauma
-tracheal, laryngeal injury/disruption
-s/p laryngectomy
3) sellick maneuver (cricoid pressure, 윤상연골 압박법)
-cricoid cartilage를 뒤쪽으로 누르면서 시행하게 되고, 척추기둥의 지지를 받으면서 식도 폐쇄
-환자가 만약 구토를 한다면 즉시 sellick maneuver를 중지하고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구토물 흡인